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우리 몸의 균형을 위한 세가지 전략 : Balance strategy

우리 몸의 균형을 위한 세가지 전략 : Balance strategy

인간의 균형은 시각(눈), 전정시스템(귀), 고유감각(근육, 힘줄, 인대, 근막, 관절)및 중추신경계 내 반응시간의 통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뇌의 기능은 여기에서 말할 수는 없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균형은 척수에서 일어나는 특정 반사작용이 있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게 됩니다. 시력이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우리 몸에 사용되는 주된 시스템이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우리의 시력은 점점 더 나빠집니다.

 

 

균형이란?

균형은 실제로 우리의 몸을 지지 기반에서 우리의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말은 어렵지만, 실제로 균형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이해가 어렵지는 않습니다. 

 

Center of Gravity(무게중심 : COG)

기본적으로 COG는 몸의 균형점 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몸이 움직이면, 이 무게 중심은 항상 변화되며, 몸은 변화 중심에서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조정됩니다.


Base of Support(지지점 : BOS)

BOS는 무게 중심이 지지하는 영역을 의미합다. 서있는 자세에서는 양발의 영역이 BOS가 되는데, 여기에 지팡이를 딛고 서게 되면 BOS가 넓어지게 되죠. 다시 한발 서기를 한다고 생각을 하면 BOS는 반으로 좁아지게 됩니다.

균형유지를 위한 세가지 전략

 

 

 

발목전략 (ankle strategy)

맨발에 서있는 사람을 보면, 발목에 힘줄이 보이거나 정강이 근육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몸을 BOS위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변화되는 무게 중심에 적응을 위한 것이죠. 건강한 사람의 경우, 신체의 위치와 균형을 조정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발목의 해부학 적 구조는 발목전략으로 모든 운동 방향을 제어 할 수 있습니다.

 

■ 엉덩관절이나 무릎관절의 최소한의 운동과 더불어 발목관절에 대한 신체의 회전에 의한 신체 무게중심의 이동이 포함되어 있음
■ 중앙선 가까이에서 느리고 작은 동요가 발생할 때 발생하는 동요에 대하여 견디기 충분할 정도의 넓고 안정적인 지지면을 갖고 있을 때 사용됨.
■ 발의 고유수용성 감각은 발목전략 사용에 중요한 정보.
■ 토크 생성에 의해 단일분절에서의 역진자 운동으로써 전체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COM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 Hamstring과 척추 기립근은 엉덩 관절과 무릎관절을 신전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hamstriog과 척추 기립근의 협조적 활동이 없다면 GCM의 토크의 간접적인 효과로 신체 분절의 근위부에서 하지에 대해 체간의 전방 운동이 일어날 것이다.
→ 발목전략 동안 전-후방으로 흔들리는 변이를 보상하기 위해 머리의 무게중심과 신체의 무게중심은 같은 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엉덩 관절전략 (hip strategy)

일반적으로 신체에 큰 동요가 생긴다면, 엉덩관절의 흔들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줄타기곡예사가 줄 위에서 균형을 잃을 때 균형을 다시 유시지하기 위해 엉덩관절을 앞에서 뒤로 이동하는 것을 생각해 볼까요? 사람은 나이를 먹을수록 균형이 줄어 듦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더 작은 동요에도 신체의 균형에 문제를 가져오고 엉덩관절전략의 사용은 더 많아지게 됩니다. 발목이 부상당한 운동 선수의 경우, 고유감각시스템 내에서의 반응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 엉덩관절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발목과 마찬가지로 엉덩이는 운동의 모든 방향에서 체중 이동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엉덩관절전략은 무릎전략(knee strategy)이 없는 이유가 됩니다.

 

 

■ 엉덩 관절을 굴곡하고 신전함으로 신체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
■ 발목관절 운동에 반응력이 없을 때 무릎관절 신전과 굴곡과 결합한 엉덩관절 굴곡과 신전이 균형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
■ 무게중심이 매우 크고, 빠르며, 안정성의 한계(limit of stability; LOS) 가까이에서 이동할 때나 바닥면이 매우 좁거나 발목전략을 사용하기 어려울 때 성인의 경우 고관절 전략을 이용
■ 발목관절과 엉덩 관절에서 반대로 작용하는 이분절로 이루어지는 신체의 움직임.
■ 엉덩 관절 전략은 좀 더 크고 빠른 불안정이나 지지면이 불편하거나 선상에 서는 것과 같은 발보다 좁은 면일 때,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쓰임.
■ 엉덩 관절 전략은 발목전략만으로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일어나며, 머리의 무게중심과 신체의 무게중심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
■ 하지의 체성감각이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발목관절 전략을 사용하지 않고 엉덩 관절전략을 이용
■ 전정기능이 없는 사람의 경우 엉덩 관절 전략을 수행할 수 없음.

 

발떼기전략 (Steping strategy)

발떼기전략은 넘어지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발떼기를 제외하고, 균형 전략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그만큼 빈도수가 많지 않죠.  균형시스템에서 심각한 문제가 생길 경우, 이 발떼기 전략은 균형 회복을 위해 작동하게 됩니다.  이 전략의 단어가 의미하듯 균형을 잃게 되면 발떼기가 나오게 됩니다. 발떼기 전략은 측면 혹은 앞-뒤 방향으로 이루어 집니다. BOS안에서 COG를 유지하기 위해서 BOS의 크기를 증가시크는 것이죠.

 

■ 동요에 대한 외적인 힘이 한발을 내딛거나 뛰거나 넘어짐으로부터 신체중심하의 지지면을 재조사하는 것.

 

 


Balance Strategy에서의 Vestibular Information

■ 발목관절 전략 수행이나 시작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님.
↳ 전정기능이 완전히 없는 사람에서도 정상적인 발목관절 전략이 나타남.
■ 발목관절 전략 시에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될 때 머리도 동시에 앞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정정보가 크게 필요하지 않음.
■ 엉덩 관절 전략일 때에는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하라 때 머리는 앞쪽으로 이동하게 됨 → 머리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머리의 안정화가 이루어 져야 할 때 전정기관이 정상이라면 엉덩 관절 전략 시 중력에 대항하여 머리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고, 전정기관으로부터 오는 중력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단순히 머리를 체간에 맞추어 유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