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정상보행주기 (Gait Cycle) 및 비정상보행

정상보행주기 (Gait Cycle) 및 비정상보행

보행은 신체이동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기립상태에서 어느 쪽인지 한쪽 다리의 발뒤꿈치가 접지하고 나서, 다시 그 다리의 발뒤꿈치가 지지면에 접할 때 까지를 보행주기라고 한다. 보행주기는 두 주기로 되어 있다. 발뒤꿈치가 접지하고 나서 발가락이 지지면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입각기(Stance Phase)와 발가락이 지지면을 떨어지고 나서 동축의 발꿈치가 접지할 때까지의 유각기(Swing Phase로 이루어져 있다. 좌우각의 입각기(Stance Phase)는 일부 겹쳐 있다. 보통 보행에서는 60%가 입각기(Stance Phase)이며 40%가 유각기(Swing Phase)라고 한다.

 


 

 

 

정상보행주기 (Normal Gait Cycle) Phase

 

① Stance Phase(입각기): ⓐ → ⓔ(60%)

ⓐ Heel Strike

ⓑ Loading Response

ⓒ Mid-Stance

ⓓ Terminal Stance(Heel-off)

ⓔ Preswing(Toe-off)

 

 

 

② Swing Phase(유각기): ⓕ → ⓖ(40%)

ⓕ Initial & Mid-Swing

ⓖ Terminal Swing

 

 

정상보행주기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는 분들을 위해 아래 링크로 연결을 해놓았습니다. 보행은 단순한 이동만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각 단계별로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나오기 위해서는 각각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타이밍에 맞추어 유기적인 움직임이 나와야 합니다.

 

[관련글] SCOOPOP 님글 - 정상보행주기 개념의 이해

비정상보행 (Abnormal Gait)

 

Steppage Gait (Foot Drop gait=계상보행)

한쪽 또는 양쪽 하지의 이완성마비(특히 족관절 주위근의 근력저하가 두드러진 경우)가 있는 환자에게 볼 수 있는 이상보행을 말한다. 환자의 족관절은 유각기(하지가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시기)에 하수하고 발끝이 지면을 스치고 만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하지 전체를 보통 보다도 높게 들어올린다. 또 입각기(하지가 지면에 닿고 있는 시기)에는 발끝이 우선 지면에 닿고 이어서 발뒤꿈치가 닿는다(정상적인 보행에서는 발뒤꿈치가 먼저 닿는다). 이와 같은 이상보행을 나타내는 질환으로서는 다발성(근)신경염, 비골신경마비, 마비장애 등이 있다.


Trendelenburg Gait(일측성): Gluteus Medius 약화 (↔ Waddle gait(오리걸음)(양측성)=Femur Head 부분탈구)

원인은 엉덩관절 벌림을 방해하는 발달성 이형성증이 원인이다. 검사법으로는 트렌델렌 버그 사인 양성(+)반응이 나타나면 트렌델렌 버그 보행을 한다고 할 수 있다.또한, 유각기(swing phase)동안 건측에 대한 골반 기울임이 형성되어 있다.


Circumduction Gait

유각기에 Hip Abduction, 체간의 건측 측방굴곡 및 환측 골반 거상 또한, 입각기가 시작될 때 Heel Strike할 수 없으며 환측 발의 외측으로 걷게 되고 중간 입각기에는 발가락과 중족골에 의해서만 지지가 일어난다. 체간은 완전하게 똑바르지 않고 약간 전방으로 구부리게 된다.

 

Equinus Gait (첨족 보행 = 발가락 끝만으로 걷는 보행)

발뒤꿈치부터 바닥에 닿은 후에 발가락이 내려오는 정상적인 보행과 달리, 발뒤꿈치는 바닥에 닿지 않고 발가락 끝만 이용하여 걷는 걸음걸이를 말한다. 첨족 보행의 원인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이며, 매우 다양하다. 첨족 보행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진  다. 첨족 보행이 한쪽에서만 관찰되는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까치  발로 걷는 다리가 반대쪽 다리에 비해 3cm 이상 짧은 경우이다. 길이가 짧은 쪽 다리가 긴 쪽 다리와 맞추기 위해 까치발로 걷는 것인데, 신발에 깔창을 덧대어 편측 첨족 보행을 교정할 수 있다. 이외에 다리 한쪽이 굳거나 마비된 경우, 또는 심한 아킬레스건염, 발꿈치뼈 골단염 발생시에도 다리 한쪽을 까치발로 걸을 수 있다. 심한 아킬레스건염의 경우, 장딴지근 후퇴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양쪽 다리를 모두 까치발로 걷는 증상은 원인을 알 수 없거나 습관적인 경우이다. 대개 10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의 어린 아이가 걸음마를 처음으로 배울 때 일시적으로 관찰되는 증상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가 필요치 않다. 가벼운 경직성 뇌성마비를 앓는 아이의 경우에도 양쪽 다리를 모두 까치발로 걷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경직성 뇌성마비를 앓고 가자미근 구축이 심한 경우에는 보톡스 주사 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샤르코트 마리투스 병과 같은 신경증병, 듀체네 병과 같은 근육병 등에서도 양쪽 다리를 모두 까치발로 걷는 증상이 나타난다.

 

 

Drunken,Ataxic(Staggering Gait = Ataxia(Hypotone) )

실조성 보행이라고도 한다. 운동실조가 있는 경우에 보게 되는 불안정한 이상보행이다. 운동실조가 있으면 근력은 정상이라도 근육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보행은 원활하게 안되고 두발은 넓게 떼어 보폭은 고르지 않고 몸이 흔들려 불안정하다. 소뇌성운동실조증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의 소뇌성 질환, 척수로 등의 척수질환, 알코올중독 등에 의한 말초 신경염, 전두엽장애 등에서 볼 수 있다.

 

Stooped Gait,Shuffle gait(짧은 스텝 = Parkinson(Hypertone) )

파킨슨병 같은 기저행에 병변이 있을 때 나타난다. 환자는 머리와 몸을 앞으로 구부리고 슬관절을 굴곡시킨 자세를 취하며, 일단 보행이 시작되면 마치 앞에 있는 물건을 잡으려 할 때처럼 몸이 앞으로 나아가며 보행속도가 점차 빨라진다. 즉, 무게 중심의 수선이 양측 발 사이에 내려오지 않고 특징적인 꾸부정한 자세로 인하여 양측 발보다 양쪽으로 내려오므로 앞으로 몸통이 넘어가 쓰러지지 않기 위하여 점차 빠르게 걷게 된다. 이 때에 보장은 비교적 짧으며, 보행 중에는 상지는 움직이지 않거나 약간 흔들린다.

Scissors gait = CP

경직형 뇌성마비에서는 고관절이 내전회내하고 슬관절이 굴곡, 첨족을 취하기 쉬우며 기립, 보행으로 양하지가 교차하게 된다. 이를 가위상 보행이라고 한다.


Calcaneus gait(Heel-off, Toe-off = Burning Pain)

Plantar Flexor muscle 약화, 정강신경(Tibial nerve) 마비가 Calcaneus Gait를 유발한다. 평발보행, 아킬레스건 늘어남, 재파열 방지, 앉았다 일어나기, 언덕오르기, 보행 추진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발바닥 medial, Lateral에 침범되지 않은 쪽 보폭 짧아진다.

 

 

오늘은 보행과 관련한 정상적인 패턴과 비정상보행에 대해서 잠시 살펴보았습니다. 관절이나 근육의 구조적인 문제로 일어나는 보행문제가 아니라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일어나는 근긴장도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비정상보행이 보다 지속적이고 보행장애의 정도가 심각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보행의 질적, 양적 향상을 위해서는 근력의 약화, 근긴장의 변화가 있는 관절 주변의 근육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병행이 되어야 하고, 각 상황에 맞는 치료적 중재가 이루어 질 때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보행훈련이 이루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에는 비정상보행을 이해하기 쉽도록 SCOOPOP님이 정리한 동영상과 그에 관련한 세부 내용을 볼 수 있는 곳을 연결해 놓았습니다. 보행장애, 이상보행에 대해 이해하시는데 보다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