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직과 경직의 차이점 : Rigidity와 Spasticity의 차이점
뇌졸중과 같이 신경계손상이 우리 몸에 오게 되면 여러가지 변화를 보이게 됩니다. 긍정적인 변화 보다도 그렇지 못한 변화들이 주를 이루게 되는데 그 중에서 가장 두들어 지는 것이 바로 근육의 긴장도 변화입니다. 긴장도 변화는 정상보다 높아지는 경우와 그 반대로 약해지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높아지는 경우를 경직 Spasticity, 강직 Rigidity 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런 근긴장도의 변화는 어떻게 오는 것이고, 강직과 경직의 차이점에 대해서 오늘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직 이란? Spasticity
Spasticity란 반사항진으로 인한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고, 뻣뻣함이 증반되는 증상으로, 뇌졸중 환자의 약 20~40%에서 나타나는 흔한 증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직의 원인
상위운동신경(upper motor neuron)의 손상에서 기인하게 되며, 특히 척수 손상 환자에게서 잘 나타납니다. α-motor neuron에게로 구심성 입력이 증가되어 신장시킬 때 흥분을 낮추기 때문에 발생하고, 척수상부구조와 척수 사이 신경원 억제의 상실과 관련이 있는 α-motor neuron에 있어서 흥분성의 역치를 낮추기 때문입니다.
경직 증상
■ 수동적으로 spasticity가 있는 부위를 신장시키려고 하면, 속도에 의존적인 저항양상이 보인다. 즉 spasticity가 있는 부위를 빠르게 펴려고 하면 저항이 매우 강하고, 느리게 펴려고 하면 저항이 낮아진다.
■ Spasticity가 있는 관절에서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spasticity의 양상이 나타난다. (주동근, 길항근 중 한 방향으로만)
■ 접칼현상(clasp knife phenomenon)이 있다 : 관절 신장 시 초기에는 저항이 강하다가 이후 저항이 감소하는 현상
■ Deep tendon refelx가 과항진 되어있다.
경직의 긍정적 영향
강직은 근육의 크기를 유지하도록 돕고 마비된 사지의 골다공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습니다. 의존성부종과 심부정맥혈전증의 방지에 도움을 주고 서거나 걸을 때 하지의 움직임에 안정성을 줍니다.
경직의 부정적 영향
보행에 관계되는 근육들의 간대성 근경련, 내전근 강직으로 인한 기저면의 축소, 유각기 시 발끝 떼기가 힘이들고, 기기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이동, 보행, 균형잡기 등이 힘들며, 지속적인 강직은 관절의 구축을 야기시키고, 관절 가동범위의 제한이 오고, 손의 조절을 방해, 굴곡근의 경련과 간대성 근경련으로 인하여 수면방해, 통증, 성기능, 회음부 위생, 도뇨관 관리의 어려움 등이 있다.
경직의 평가방법 (Modified Ashworth Scale ; MAS)
Modified Ashworth Scale Scoring (taken from Bohannon and Smith, 1987)
0
No increase in muscle tone.
근긴장 증가 없음
1
Slight increase in muscle tone, manifested by a catch and release or by minimal resistance at the end of the range of motion when the affected part(s) is moved in flexion or extension.
가벼운 근긴장 증가. 사지의 굴곡 또는 신전운동시 걸림. 가동범위 마지막 부분에 약간의 저항
1+
Slight increase in muscle tone, manifested by a catch, followed by minimal resistance throughout the remainder (less than half) of the ROM.
가벼운 근긴장 증가. 걸림이 명백. 가동범위의 50% 이하의 범위에서 약간의 저항
2
More marked increase in muscle tone through most of the ROM, but affected part(s) easily moved.
명백한 근긴장 증가가 거의 모든 가동범위에서 인지됨. 다만 사지는 쉽게 움직일 수 있슴
3
Considerable increase in muscle tone, passive movement difficult.
상당한 근깅장도가 있으며, 수동운동은 곤란함
4
Affected part(s) rigid in flexion or extension.
팔다리의 금심한 Spasticity로 굴곡이나 신전이 불가능함.
Spasticity와 Rigidity와의 비교
(1) rigitidy는 보통 기저핵(basal ganglion)이나 소뇌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Spasticity가 주동근, 길항근 중 한방향으로만 증상이 나타난다면, rigidity는 주동근, 길항근 양방향으로 나타나게 된다.
(3) 톱니바퀴현상(cog wheel phenomenon)-관절을 펴려고 할 때, 톱니바퀴가 돌 듯이 단계적으로 펴지는 현상이 있다.
(4) DTR에서 정상인 경우가 많다.
Spasticity |
Rigidity | |
정의 |
경직 수동 신장 시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속도 의존적으로 근긴장도가 증가하는 운동장애 |
강직 수동 신장 시 속도와 관계없이 저항이 계속해서 나타나는 운동장애 |
기전 |
*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
* 정확한 원인 밝혀지지 않음 |
근전도 패턴 |
위상성 α-운동신경원의 흥분 수준이 상승. |
신장하는 동안 저 진폭의 정적 γ-motorneuron이 출현하지만 동적γ-motorneuron의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정적γ-motoneuron의 흥분 수준이 상승해 있기 때문에 신장 자극에 대해 근방추로부터의 구심성 자극이 용이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반사되어 정적 α-motorneuron을 반사적으로 흥분시키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
수동운동에 대한 저항 |
* 한방향(unidirection)→ 상지-굴곡근 or 하지-신전근 |
* 양방향성(bilateral)→주동근, 길항근 모두 |
속도 |
속도에 의존적(비례) ; 속도↑ 저항↑ |
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저항(lead pipe phenomenon) |
DTR (심부건반사) |
심부건 반사 항진 |
심부건 반사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 |
손상부위 |
추체로와 주변신경로 동시손상 |
기저핵과 추체회로계 |
경련(clonus) |
나타남 |
나타나지 않음 |
현상 |
* Clasp-knife 현상(주머니칼현상) |
* Cogwheel phenomenon 현상(톱니바퀴현상) |
특징 |
강직은 반중력근육(antigravity muscle) |
1. lead pipe rigidity |
관련질병 |
CVA, TBI, SCI 등 |
파킨슨, 퇴행성질환, 종양, 뇌손상 등 |
공통점 |
비정상적으로 과긴장증(Hypertonia) 즉,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된 점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윌리스 고리(Circle of Willis) : 뇌혈관손상에 따른 증상 (0) | 2017.05.30 |
---|---|
관절은 움직여야 건강해진다 : 윤활액 (0) | 2017.05.29 |
운동단위 : motor unit - 운동단위 크기/ 분류 (0) | 2017.05.27 |
로드 앤 시프트 테스트 Load & Shift Test : 어깨의 전후방 불안정성 평가 (0) | 2017.05.17 |
크랭크 검사 : 어깨관절의 불안정성 검사 Crank Test (0) | 2017.05.15 |